1.2조 수계기금 부실 논란! 환경청의 농지 불법전용과 부담금 미납 충격 😱#수계관리기금 #환경청 #농지불법전용 #농지보전부담금 #4대강 #수질관리

FLOW/지원금

1.2조 수계기금 부실 논란! 환경청의 농지 불법전용과 부담금 미납 충격 😱#수계관리기금 #환경청 #농지불법전용 #농지보전부담금 #4대강 #수질관리

technewsflow 2025. 4. 17. 12:21
반응형

1.2조 수계기금 부실 논란! 환경청의 농지 불법전용과 부담금 미납 충격 😱

#수계관리기금 #환경청 #농지불법전용 #농지보전부담금 #4대강 #수질관리

요약설명 ✨

연 1.2조 수계관리기금 부실 운영! 환경청, 20년간 농지 3300만㎡ 불법전용, 부담금 922억 미납. 고가 부동산 매수와 완충저류시설 방치도 적발!

상세설명1 🔍

수계관리기금, 어떤 사업인가요? 💧

수계관리기금은 한강, 낙동강, 금강, 영산강·섬진강의 수질 개선과 주민 지원을 위해 연평균 1.25조 원을 집행하는 사업이에요. 물이용부담금(톤당 170원)을 재원으로 환경기초시설, 토지 매수, 주민 지원 등에 쓰이죠. Maeil Business에 따르면, 4대강 수계의 수질 관리와 지역 경제 활성화를 목표로 하지만, 감사 부족으로 부실 운영 논란이 계속됐어요. X에서도 “1조 넘는 예산, 제대로 쓰이고 있나?”란 우려가 나왔답니다. 이 기금, 정말 효과적일까요?

농지 불법전용, 무슨 문제? 🌾

환경청은 20년간 여의도 12배(3300만㎡) 농지를 수변생태벨트 조성 명목으로 매수했지만, 농지전용허가를 받지 않았어요. Hankyung은 “농지법 위반으로 농지보전부담금 922억 원도 미납”했다고 전했죠. 농지법 제38조에 따르면, 농지 전용 시 부담금을 납부해야 하지만, 환경청은 이를 무시했어요. X에서는 “환경청이 법 어기다니, 믿을 수 있나?”란 비판이 쏟아졌답니다. 이 부담금, 왜 안 냈을까요?

[](https://www.easylaw.go.kr/CSP/CnpClsMain.laf?csmSeq=1815&ccfNo=2&cciNo=3&cnpClsNo=2)

고가 부동산 매수, 왜 문제? 🏬

환경청은 수질 개선 효과가 적은 미분양지, 나대지, 단독주택 등 117필지(281억 원)를 매수했어요. Asiae는 “부동산 개발 리스크를 줄여 투기를 부추길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죠. 예를 들어, 고가 호텔 부지를 매수했지만 수질 관리와 무관하다는 비판이 나왔어요. X에서도 “수질 개선 돈으로 부동산 사들이다니, 국민 세금 낭비!”란 반응이 많았답니다. 이런 매수, 정말 필요했을까요?

상세설명2 🔎

완충저류시설, 왜 방치됐나? 🚨

낙동강 수계의 완충저류시설 17곳은 오염수를 저장해 수질을 관리하는 핵심 시설인데, 모두 고장 상태로 방치됐어요. YTN에 따르면, 수질계측기 고장(17곳), 수문·밸브 고장(5곳), 중앙제어기 고장(1곳) 등이 적발됐죠. 심지어 맨홀 무단 매몰(1곳) 사례도 있었어요. X에서는 “재난 대비 시설이 고장이라니, 환경청 뭐했나?”란 분노가 터졌답니다. 이 시설들, 언제쯤 정상화될까요?

하수도 보조금, 왜 과다 지급? 💸

2016~2023년 99개 지자체가 징수한 부담금 1.8조 원 중 1.1조 원을 하수도 사업비에서 공제하지 않아, 93개 지자체가 1,100억 원 넘게 보조금을 과다 수령했어요. News1은 “규정 미준수로 국민 세금이 낭비됐다”고 비판했죠. 예를 들어, 부담금을 공제하면 보조금이 30% 줄었을 텐데, 지자체는 이를 무시했어요. X에서도 “지자체, 국민 돈으로 배불리나?”란 비판이 나왔답니다. 이 돈, 어떻게 돌려받을까요?

앞으로의 대책은? 🔧

국무조정실은 환경부에 완충저류시설 보수(2025년 5월까지), 농지보전부담금 납부, 부적정 매수 중단을 요구했어요. Segye Ilbo에 따르면, 환경청은 “부담금 납부 계획 수립 중”이라 밝혔지만, 구체적 일정은 미정이에요. 김종문 국무1차장은 “수질 개선과 주민 지원의 효율성을 높이겠다”고 했죠. X에서는 “늦었지만 지금이라도 고쳐야!”란 응원이 나왔어요. 이 대책, 효과를 볼까요?

찬반의견 ⚖️

지지: 수질 관리 위한 불가피한 선택 🙌

일부는 환경청의 토지 매수가 수질 개선에 필요했다고 봐요. KBS는 “상수원 보호를 위해 농지 매수는 필수”라며, 생태벨트가 장기적으로 수질을 개선한다고 했죠. 농지보전부담금 미납도 예산 부족 때문이란 주장도 있어요. X에서도 “수질 관리 위해선 어쩔 수 없었다”란 의견이 나왔답니다. 이 사업, 정말 필수적이었을까요?

우려: 국민 세금 낭비와 법 위반 😟

반면, 부실 운영과 법 위반이 심각하다는 비판이 커요. Hankyung은 “1.2조 예산으로 부동산 투기와 부담금 미납은 용납할 수 없다”고 했죠. 특히 농지 불법전용은 농지법을 어긴 명백한 위법 행위예요. X에서는 “환경청, 국민 세금으로 장난치나?”란 분노가 많았어요. 이 부실, 그냥 넘어갈 문제일까요?

질문답변 ❓

  • 수계관리기금 규모는?
    연평균 1.25조 원이에요.
  • 농지 불법전용 면적은?
    3300만㎡, 여의도 12배예요.
  • 미납 부담금은 얼마?
    922억 원이에요.
  • 완충저류시설 문제는?
    17곳 모두 수질계측기 고장 등으로 비정상 운영됐어요.
  • 과다 보조금 규모는?
    93개 지자체가 1,100억 원 넘게 받았어요.

추가 질문답변 🔍

  • 수계관리기금의 재원은?
    물이용부담금(톤당 170원)으로 조성돼요.
  • [](https://www.110.go.kr/data/faqView.do?num=62312&curPage=9&scType=&scText=)
  • 농지보전부담금 미납 이유는?
    예산 부족과 관리 소홀로 추정되지만, 환경청은 명확히 밝히지 않았어요.
  • 부적정 매수 필지 수는?
    117필지, 281억 원 규모예요.
  • 완충저류시설 보수 계획은?
    2025년 5월까지 전면 보수 예정이에요.
  • 지자체 부담금 미공제 이유는?
    규정 미준수와 관리 부실 때문이에요.

용어설명 📚

  • 수계관리기금: 4대강 수질 개선과 주민 지원을 위해 물이용부담금으로 조성된 기금이에요.
  • 농지보전부담금: 농지 전용 시 농지 보전·조성 비용으로 부과되는 금액, 공시지가의 30% 또는 ㎡당 5만 원 중 적은 금액이에요.
  • [](https://www.asan.go.kr/main/cms/?tb_nm=permission&m_mode=view&pds_no=2022042111271975435&PageNo=12&no=481)
  • 농지 불법전용: 농지법에 따른 전용허가 없이 농지를 다른 용도로 사용하는 행위예요.
  • 완충저류시설: 오염수를 저장해 하천 수질을 관리하는 시설이에요.
  • 물이용부담금: 수질 관리 재원으로, 물 1톤당 170원 부과되는 요금이에요.

기타사항 ℹ️

Labels: 수계관리기금, 환경청, 농지불법전용, 농지보전부담금, 4대강, 수질관리

Permalink: water-fund-mismanagement-2025

Location: South Korea

목차 📋

요약설명 | 상세설명1 | 상세설명2 | 찬반의견 | 질문답변 | 용어설명 | 기타사항 | 주요지표

주요지표 📈

항목 수치
수계관리기금(연평균) 1.25조 원
물이용부담금 톤당 170원
농지 불법전용 면적 3300만㎡
농지보전부담금 미납 922억 원
부적정 매수 필지 117필지
부적정 매수 금액 281억 원
완충저류시설 수 17곳
지자체 부담금 총액 1.8조 원
미공제 부담금 1.1조 원
과다 보조금 지급 지자체 93개

"구독", "좋아요.공감", 광고 "클릭" 부탁드려요.

반응형